MVC 패턴이란?
MVC패턴은 Model-View-Controller의 약자로서 개발을 할 때 3가지 형태로 역학을 나누어 개발하는 방법론.
MVC의 각자 컴포넌트들을 Model, View, Controller라고 한다.
Model
애플리케이션의 정보, 데이터를 나타냅니다. 데이터베이스, 처음의 정의하는 상수, 초기화값, 변수 등을 뜻합니다.
또한 이러한 DATA, 정보들의 가공을 책임지는 컴포넌트를 말합니다.
---> 서비스 로직과 DB연동 담당
서비스 로직과 DB연동 담당하는 역할을 나눈다.
이 역할 분리를 이해하려면 구조의 큰 틀을 이해하고 있어야한다.
또한 DTO와 DAO에 대해서도 알고 있어야 한다.
DTO란?
DTO는 계층 간 데이터 교환을 위해 사용하는 객체로, DTO 는 로직을 가지지 않은 순수한 데이터 객체(getter&setter 만 가진 클래스유저가 자신의 브라우저에서 데이터를 입력하여 form에 있는 데이터를 DTO에 넣어서 전송한다.해당 DTO를 받은 서버가 DAO를 이용하여 데이터 베이스로 데이터를 집어넣는다.
Entity와 DTO를 나눠야 하는 이유
@Vaild라는 어노테이션을 사용해서 데이터 검증을 할 수 있다.
Entity class가 변경되면 여러 클래스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DTO로 나누어서 관리한다.
DAO란?
단순하게 페이지를 불러오고 DB정보를 한번에 불러오는 간단한 프로젝트에서는 Service와 DAO의 차이는 거의 없다고 한다.다시말해 DAO는 MYsql 서버에 접근하여 SQL 문을 실행할 수 있는 객체이다.
JPA와 DAO의 활용
JPA는 쉬운 쿼리를 쓸 때 JPA만 쓰면 좋음
하지만 복잡도가 높은 쿼리는 DAO를 섞어쓰거나 DAO만 쓰는게 좋음.
Model의 역할 분리(패키지 분리)
- repository
Entity에 의해 생성된 DB에 접근하는 메서드 들을 사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JpaRepository를 상속하며 JPA가 제공하는 메서드들을 사용할 수 있다.
- domain
실제 DB의 테이블과 매칭될 클래스
- service
Service가 알맞은 정보를 가공하는 과정을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한다’ 라고 한다.
Service가 비지니스 로직을 수행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 DAO를 이용해서 결과 값을 받아온다.
Model의 규칙
- 사용자가 편집하길 원하는 모든 데이터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즉, 화면안의 네모박스에 글자가 표현된다면, 네모박스의 화면 위치 정보, 네모박스의 크기정보, 글자내용, 글자의 위치, 글자의 포맷 정보 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 뷰나 컨트롤러에 대해서 어떤 정보도 알지 말아야 한다
데이터 변경이 일어났을 때 모델에서 화면 UI를 직접 조정해서 수정할 수 있도록 뷰를 참조하는 내부 속성값을 가지면 안 된다는 말입니다.
- 변경이 일어나면, 변경 통지에 대한 처리방법을 구현해야만 한다.
모델의 속성 중 텍스트 정보가 변경이 된다면, 이벤트를 발생시켜 누군가에게 전달해야 하며, 누군가 모델을 변경하도록 요청하는 이벤트를 보냈을 때 이를 수신할 수 있는 처리 방법을 구현해야 합니다. 또한 모델은 재사용가능해야 하며 다른 인터페이스에서도 변하지 않아야 합니다.
View
input 텍스트, 체크박스 항목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나타냅니다. 다시 말해 데이터 및 객체의 입력, 그리고 보여주는 출력을 담당합니다. 데이타를 기반으로 사용자들이 볼 수 있는 화면입니다.
View의 규칙
- 모델이 가지고 있는 정보를 따로 저장해서는 안된다.
화면에 글자를 표시 하기 위해, 모델이 가지고 있는 정보를 전달받게 될텐데, 그 정보를 유지하기 위해서 임의의 뷰 내뷰에 저장하면 안됩니다. 단순히 네모 박스를 그리라는 명령을 받으면, 화면에 표시하기만 하고 그 화면을 그릴 때 필요한 정보들은 저장하지 않아야 합니다.
- 모델이나 컨트롤러와 같이 다른 구성요소들을 몰라야 된다.
모델과 같은 자기 자신의 빼고는 다른 요소는 참조하거나 어떻게 동작하는지 알아서는 안됩니다. 그냥 뷰는 데이터를 받으면 화면에 표시해주는 역할만 가진다고 보면 됩니다.
- 변경이 일어나면 변경통지에 대한 처리방법을 구현해야만 한다.
모델과 같이 변경이 일어났을 때 이른 누군가에게 변경을 알려줘야 하는 방법을 구현해야 합니다. 뷰에서는 화면에서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된 내용을 변경하게 되면 이를 모델에게 전달해서 모델을 변경해야 할 것이다. 그 작업을 하기 위해 변경 통지를 구현합니다.
그리고 재사용가능하게끔 설계를 해야 하며 다른 정보들을 표현할 때 쉽게 설계를 해야 합니다.
Controller
데이터와 사용자인터페이스 요소들을 잇는 다리역할을 합니다.
즉, 사용자가 데이터를 클릭하고, 수정하는 것에 대한 "이벤트"들을 처리하는 부분을 뜻합니다.
Controller의 규칙
- 모델이나 뷰에 대해서 알고 있어야 한다.
모델이나 뷰는 서로의 존재를 모르고, 변경을 외부로 알리고, 수신하는 방법만 가지고 있는데 이를 컨트롤러가 중재하기 위해 모델과 그에 관련된 뷰에 대해서 알고 있어야 합니다.
- 모델이나 뷰의 변경을 모니터링 해야 한다.
모델이나 뷰의 변경 통지를 받으면 이를 해석해서 각각의 구성 요소에게 통지를 해야 합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의 메인 로직은 컨트롤러가 담당하게 됩니다.
MVC 패턴을 사용하는 이유
사용자가 보는 페이지, 데이터처리, 그리고 이 2가지를 중간에서 제어하는 컨트롤, 이 3가지로 구성되는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만들면 각각 맡은바에만 집중을 할 수 있게 됩니다.
즉 서로 분리되어 각자의 역할에 집중할 수 있게끔하여 개발을 하고 그렇게 애플리케이션을 만든다면, 유지보수성, 애플리케이션의 확장성, 그리고 유연성이 증가하고, 중복코딩이라는 문제점 또한 사라지는 효과를 가질수 있기 때문에 MVC 패턴을 사용합니다.
---> 집중도를 높여서 효율이 높아짐, 분리를 통해 유연하게 코딩가능
공부한 걸 바탕으로 작성해서 설명이 부족하거나 틀린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틀린 부분이나 잘못된 정보는 피드백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당.
참고자료 :
'Web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OP)의 핵심 개념 (1) | 2024.04.18 |
---|---|
Spring Container에 대해서 (0) | 2023.03.02 |
Spring Framework에 대해서 (0) | 2023.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