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

·Web/Spring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모델에서 제시하는 개념객체(object)클래스(class)추상화(abstraction)캡슐화(encapsulation)상속(inheritance)다형성(polymorphism)연관(association)집약(aggregation)구성(composition)객체(object)란 무엇인가?객체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이다.객체는 실세계의 개체다.객체는 상태(필드)와 동작(메서드)을 가진다.객체는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나타낸다.객체는 메모리에서 공간을 차지한다.객체는 다른 객체와 소통할 수 있다.클래스(class)란 무엇인가?클래스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이다.클래스는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템플릿 또는 청사진이다.클래스는 인스턴스화하기 전까지는 메모리의 힙..
·Web/Spring
MVC 패턴이란? MVC패턴은 Model-View-Controller의 약자로서 개발을 할 때 3가지 형태로 역학을 나누어 개발하는 방법론. MVC의 각자 컴포넌트들을 Model, View, Controller라고 한다. Model 애플리케이션의 정보, 데이터를 나타냅니다. 데이터베이스, 처음의 정의하는 상수, 초기화값, 변수 등을 뜻합니다. 또한 이러한 DATA, 정보들의 가공을 책임지는 컴포넌트를 말합니다. ---> 서비스 로직과 DB연동 담당 서비스 로직과 DB연동 담당하는 역할을 나눈다. 이 역할 분리를 이해하려면 구조의 큰 틀을 이해하고 있어야한다. 또한 DTO와 DAO에 대해서도 알고 있어야 한다. DTO란? DTO는 계층 간 데이터 교환을 위해 사용하는 객체로, DTO 는 로직을 가지지 않은..
·Web
HTTP status code 란? 웹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 상태를 알려주는 3자리 숫자로 이루어진 코드 웹브라우저에서 웹페이지를 요청하면, 해당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HTTP 상태 코드가 반환된다. HTTP 상태 코드는 요청이 성공했는지, 오류가 발생했는지 등의 상태를 나타내며, 이를 통해 클라이언트가 요청에 대한 처리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200번대 : 통신성공 상태코드 이름 의미 200 OK 요청 성공(GET) 201 Create 생성 성공(POST) 202 Accepted 요청 접수 O, 리소스 처리 X 204 No Contents 요청 성공 O, 내용 없음 300번대 : 리다이렉트 상태코드 이름 의미 300 Multiple Choice 요청 URI에 여러 리소스가 존재 301 Mov..
·Web
HTTP Request Methods 란? 클라이언트가 웹서버에게 요청하는 목적 및 그 종류를 알리는 수단 HTTP Request Methods 종류 GET 리소스(데이터)를 받기 위함 URL(URI) 형식으로 서버 측에 리소스를 요청한다. HEAD 메세지 헤더 정보를 받기 위함 GET과 유사하지만, HEAD는 실제 문서 요청이 아닌 문서에 대한 정보 요청이다. 즉, Response 메세지를 받았을 때, Body는 비어있고, Header 정보만 들어있다. POST 리소스(데이터)를 갱신하기 위함 POST와 유사하나, 기존 데이터를 갱신할 때 사용한다. PUT 리소스(데이터)를 갱신하기 위함 POST와 유사하나, 기존 데이터를 갱신할 때 사용한다. DELETE 리소스(데이터)를 삭제하기 위함 웹 서버측에 ..
DevelopJJong
'Web' 카테고리의 글 목록